야생화 이야기

광대나물 / Henbit deadnettle

담바우1990 2022. 3. 20. 05:40

광대나물  /  Henbit deadnettle

 

동의어 : 코딱지나물, 광주리나물, 목걸레나물, 작은잎광대수염, 진주연, 보개초(寶蓋草),

등룡초(燈龍草), 풍잔(風盞)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광대나물속

서식지 : 숲의 가장자리, 길가,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전국의 양지바른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원형으로 잎자루가 길다.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반원형, 양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3-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피며, 붉은 보라색이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화관은 통이 길고, 위쪽에서 갈라지며, 아랫입술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난형이다.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인다.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원형으로 지름 1-2cm, 잎자루가 길다.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반원형, 양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3-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피며, 붉은 보라색이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화관은 길이 1.5-2.0cm이며, 통이 길고, 위쪽에서 갈라지며, 아랫입술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난형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밭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줄기 아래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자란다. 잎이 원형 또는 콩팥 모양이다. 꽃은 줄기의 윗부분에 달리는 엽액에 달리며 잎자루가 없고 대생하기 때문에 마치 잎이 윤생(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본 분류군은 우리나라의 광대나물속 다른 식물들에 비해서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며, 꽃은 길이 2cm 이하로서 작으므로 구분된다. 어린 식물체는 나물로 먹기도 하고, 민간에서는 지혈제로 쓰인다. 이와 비슷하게 중국에서는 외상성 손상(tarumatic injury)에 약으로 쓴다(Flora of China, 2003). 신경통, 흥분제, 설사약으로도 쓴다(Duke and Ayensu, 1985).

 

 

 

 

 

 

 

 

 

 

 

 

 

 

 

*****   THANK  YOU   *****

'야생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불알꽃 / lady's slipper  (0) 2022.03.21
개불알풀 / Wayside speedwell  (0) 2022.03.20
개암나무 / Siberian Hazel  (0) 2022.03.19
철쭉, 躑躅 / Smile Rosebay  (0) 2022.03.19
개나리 / golden-bell tree  (0) 2022.03.17